
비는ㅂ 왜 내릴까요? 문득 궁금해졌습니다.
비는 대기 중에 있는 수증기가 높은 고도로 상승하여 공기가 차가워지면 응축되어 구름을 형성하고 이 구름 안에서 물방울은 계속 성장하여 구름 입자가 커지게 됩니다.
이 구름 입자가 충분히 커지면, 구름 안의 공기가 더 이상 이 입자를 지탱할 수 없게 되어, 구름 입자가 지면을 향해 떨어지게 됩니다. 이때 구름 입자들은 서로 충돌하여 결합하여 물방울이나 눈 결정체가 형성됩니다.
눈 결정체나 물방울은 구름 안에서 유지되기 위해 대기 중의 작은 입자들과 충돌하여 성장하게 되는데, 이 과정에서 눈 결정체나 물방울은 크기가 계속해서 커지게 됩니다.
그러나 눈 결정체와 물방울이 대기 중에서 성장하는 데에는 한계가 있습니다. 비가 내리는 과정은 이 한계를 초과하게 되면서 비가 내리게 됩니다.
비가 내리는 과정에서는 구름 입자들이 공기 저항과 중력의 영향으로 지면 방향으로 떨어지게 됩니다. 이때 구름 입자들이 충돌하면서 물방울이나 눈 결정체가 더욱 커져서 비가 내리게 됩니다.
수증기가 상승해서 구름으로 응축되는 과정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수증기가 상승하여 응축되는 과정을 자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습니다.
- 수증기 생성
물이 기체 상태로 존재하면 수증기로 불리우며 대기 중에 존재합니다. 수증기는 바람, 태양, 열, 물 등 여러 가지 원인으로 인해 대기 중에 생성됩니다.
- 공기 상승
수증기가 공기와 섞여 있으며, 공기가 수증기와 함께 상승합니다. 공기가 상승하는 원인은 대기의 기온이 지면보다 낮은 곳에서 상승하는 공기의 밀도가 더 낮기 때문입니다. 공기가 상승할 때 수증기도 함께 상승합니다.
- 냉각
공기가 상승하면 압력이 낮아지고 온도가 떨어지면서 냉각되게 됩니다. 공기 온도가 이슬점 이하가 되면 수증기가 응축되어 물방울이나 얼음 결정체로 바뀌어 구름을 형성합니다.
- 구름 형성
응축된 수증기가 작은 입자로 형성되고, 이들이 계속해서 충돌하여 성장하면서 구름 입자가 형성됩니다. 이러한 과정을 축적이라고 합니다. 축적된 입자들은 충돌하여 커지면서, 결국에는 구름을 형성합니다.
이러한 과정이 지속되면, 구름 입자들이 충분히 커지면 중력의 영향으로 땅으로 떨어지게 됩니다. 이때 구름 입자들이 서로 충돌하여 결합하여 물방울이나 눈 결정체가 형성되고, 이것이 비나 눈으로 내리게 됩니다.

이러한 과정을 거치고, 비가 내리게 됩니다.
구름 속에서 축적된 물방울이나 눈 결정체는 서로 충돌하며 더욱 커지게 되어, 일정한 크기 이상이 되면 중력의 영향으로 지면 방향으로 떨어지게 됩니다.
비가 내리는 과정은 이렇게 떨어지는 물방울이나 눈 결정체들이 대기 중의 공기와 부딪히면서 더욱 커지게 되는 과정을 거치게 됩니다.
떨어지는 물방울이나 눈 결정체는 공기 저항을 받으며, 공기 입자들과 충돌하면서 속도가 줄어들게 됩니다. 이때 물방울이나 눈 결정체의 표면에는 수증기가 응축되어 구름 입자들이 더욱더 결합하게 됩니다.
결국 충돌과 응축 과정을 반복하면 물방울이나 눈 결정체는 비로 떨어지게 됩니다. 비는 대기 중에 있는 물방울이나 얼음 결정체들이 지면으로 떨어지는 과정이며, 빗물로 존재하게 됩니다.
비가 얼마나 오는지, 측정하는 방법은 무엇일까요?
비를 측정하는 방법은 다양하지만, 일반적으로는 기상관측소에서 사용하는 일반적인 기상계측 장비를 사용합니다.
가장 일반적인 방법은 우량계를 사용하는 것입니다. 우량계는 비가 오면 그 물의 양을 측정하는 장치로, 물을 모은 후에 양을 재어 비의 양을 파악합니다. 이 방법은 비가 집중적으로 내릴 때 매우 정확한 측정을 할 수 있습니다.
또 다른 방법으로는 레이더를 사용하는 것입니다. 레이더는 대기 중에서 비가 얼마나 많이 내리는지, 얼마나 집중적으로 내리는지를 파악할 수 있습니다. 이 방법은 대기의 전체적인 상황을 파악할 수 있기 때문에 지역적으로 강한 비가 내리는 경우에 효과적입니다.
또한 최근에는 스마트폰 앱을 통해 직접 비의 양을 측정할 수 있는 방법도 개발되고 있습니다. 이 방법은 스마트폰의 카메라와 센서를 활용하여 비의 양을 추정합니다. 그러나 이 방법은 비의 양을 정확하게 측정하기는 어렵기 때문에 참고용으로 사용하는 것이 좋습니다.
비에도 종류가 있다는 것을 아시나요? 비에는 어떤 종류들이 있을까요?

비는 여러 가지 종류로 구분될 수 있습니다. 일반적으로는 비의 유형을 구분하는 데에는 비의 발생 원인이나 형태, 크기, 강도, 지속시간 등을 고려합니다. 이 중에서 대표적인 비의 종류에는 다음과 같은 것들이 있습니다.
- 적설비(Sleet) : 눈과 비가 섞인 형태의 강수로, 눈과 같은 형태의 물방울이 땅에 떨어집니다.
- 얼음비(Freezing Rain) : 비가 떨어지면서 기온이 낮아서 물방울이 지면에 닿으면 바로 얼어서 얼음으로 되는 현상입니다.
- 진눈깨비(Rain and Snow Mixed) : 눈과 비가 섞인 강수로, 눈과 같은 형태의 물방울과 눈결정이 함께 떨어집니다.
- 소나기(Rain Shower) : 짧은 시간 동안 강한 비가 내리는 현상으로, 매우 집중적으로 비가 내리기 때문에 지역적으로 큰 피해를 초래할 수 있습니다.
- 폭우(Heavy Rain) : 일반적인 비보다 강한 강수로, 대개 매우 큰 양의 비가 짧은 시간에 내리기 때문에 큰 피해를 초래할 수 있습니다.
- 가랑비(Drizzle) : 매우 작은 물방울이 연속적으로 떨어지는 형태의 비로, 대개 비가 길게 지속됩니다.
- 소낙비(Mist) : 가랑비보다 더 작은 물방울이 대기 중에 매우 미세하게 떨어지는 형태로, 대개 날씨가 매우 흐린 날에 발생합니다.
- 참빗(Rain) : 물방울이 대기 중에서 충돌하면서 생기는 형태의 비로, 일반적으로는 가장 흔한 형태의 비입니다.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