쿠팡 단기직을 하다가, 단기직 생활을 그만하고
계약직으로 입사했습니다.
제가 단기직을 하다가 계약직으로 입사하게 된
이유를 먼저 말씀드리겠습니다.
첫번째 이유 1.
월 급여
단기직을 주 5회 하실상황이라면 계약직 입사를 추천합니다.
계약직이 단기직보다 월급여 측면에서 높기 때문입니다.
<단기직 계산(일용직 알바)>
단기직 급여를 오후조 기준으로 주 5회 근무를 기본으로 계산해보았습니다.
일급 100500원 / 주 5일 출근 / 한달 20회
1주 : 100500원 x 5일 출근 = 502,500원
한달 : 502,500원 x 4주 = 2,010,000원
여기서 주휴수당이 추가 지급되지만,
제 경험을 바탕으로 보면
4대보험료납부비와 받는 주휴수당이 거의 비슷합니다.
그래서 저는 4대보험료로 공제되는 금액을 0으로 잡고 계산하였습니다.
따라서 주5회 / 한달 근무시 오후조 근무기준,
2,010,000원 정도 소득이 발생하신다고 생각하시면 됩니다.
(4대보험을 뗴가는 금액이 있으니 정확한 급여는 달라질 수 있습니다.
저정도 받으신다고 생각하시면 됩니다.)
<계약직 기준>
제가 받은 근무표 기준을 보면,
한달 평균 21일 - 22일 정도 근무하는 것 같습니다.
계약직 오후조 월급이
2,613,490원 + 만근시 수당 10만원 = 2,713,490원
이 됩니다.
여기서 4대보험을 공제하면
(네이버에서 4대보험계산기 검색해서 계산하였습니다)
계약직 최종 월급
2,713,490원 - 255,010원 = 2,458,480원
!정리!
계약직 월급 2,458,480원
단기직 월급 2,010,000원 정도
(계약직의 경우 단기직20일 근무보다 1일-2일 더 근무를 하지만
급여측면에서 20만원정도 높다고 볼 수 있습니다.)
두번째 이유2.
근무 확정 스트레스가 없다.
단기직을 하다보면 보통 전날에 근무확정 문자가 옵니다.
만일 전날에 근무확정을 받지 못하고 내일 무슨 일을해야하지
막막할 때가 찾아옵니다.
알바비로 생활비로 살아가게 되면 이런 문제가 결국에는 큰스트레스가 될 수 있습니다.
이런 경우가 발생하는 것을 예방할 수 있어 좋은 것 같습니다.
세번째 이유3.
특근을 신청해서 근무하면 급여가 1.5배입니다.
계약직의 경우 쿠팡은 주 6일근무가 최대입니다.
주 5일 근무가 기본이지만, 2일 휴무에서 1일을 더 근무하고 싶다 하시면 특근을 신청해서
근무를 할 수 있습니다.
특근을 신청해서 근무를 하시게되면 1.5배 급여가 지급이 됩니다!
네번째 이유4.
쿠팡 쇼핑몰 캐시백
쿠팡에서 구매한 금액의 5%가 캐시백됩니다.
(1년 한도금액이 정해져 있습니다. 정확한 금액이 기억이 안나지만 추후에 업데이트 하겠습니다.)
다섯번째 이유5.
설날, 추석등 명절에 쿠팡캐시를 준다고 합니다.
아직 안받아봐서 금액을 모르지만 쿠팡캐시를 받아서
쿠팡에서 물건을 구매할 수 있습니다.
여섯번째 이유6.
연차가 있습니다.
한달 만근시 연차가 생기는데,
연차도 결국에 돈이니까 연차쓰고 쉬어도 월급이 그대로 나오니까 기분이 좋더라구요!
일곱번째 이유7.
개인 사물함
쿠팡을 다니다보면 공용 안전화를 신을 때도 있지만,
쿠팡에서 일을 하다보면 움직임이 많이 있기 때문에
확실히 발이 많이 아프기도 합니다.
그래서 저는 편한 안전화를 구매해서 신고 다니는데
일을 가기전에는 안전화를 신어도 별 느낌이 없고 괜찮은데,
확실히 일이 끝나고 집에 올 때는 정말 안전화를 빨리 갈아신고 싶더라구요.
발이 아파요ㅜㅜ
단기직 때는 개인사물함이 없어서 매번 들고다니기도 귀찮고
신고 출퇴근을 했습니다.
계약직의 경우 개인 사물함을 주니 사물함에 넣고 다닐 수 있어서 좋습니다.
그래서 출퇴근은 운동화나 크록스를 신고 다니며 하고 있습니다.
퇴근할 때 발이 가볍고 좋네요!
위와 같은 장점도 있지만,
단점도 있습니다.
스케쥴 근무
제일 큰 단점을 말씀드리면,
계약직의 경우 스케쥴 근무이기 때문에
제가 쉬고 싶은 날에 쉴 수가 없습니다.
이와는 반대로 단기직은
내가 근무하고 싶을 날을 지정해서 근무를 신청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계약직은 이런 경우가 불가합니다.
댓글